영어에서는 같은 철자를 가진 단어라도 뜻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요. 주로 명사와 동사일 때 발음이 달라지는 단어들이 많은데요, 이 패턴을 익히면 영어를 더 자연스럽게 읽고 말할 수 있어요! 오늘은 그런 단어 5가지를 소개할게요.
1. Present 🎁 (명사: /ˈprez.ənt/ vs. 동사: /prɪˈzent/)
✔ Present /ˈprez.ənt/ (명사) → 선물, 현재
✔ Present /prɪˈzent/ (동사) → 발표하다, 제공하다
📌 차이점: 명사일 때는 강세가 앞에 있고, 동사일 때는 강세가 뒤에 있어요!
✔ 예문:
- She gave me a wonderful present. (그녀가 멋진 선물을 줬어.)
- I have a meeting at the present time. (나는 지금 회의가 있어.)
- He will present his research tomorrow. (그는 내일 연구를 발표할 거야.)
- May I present our new CEO? (우리의 새로운 CEO를 소개하겠습니다.)
💡 Tip: 명사일 때는 "프레즌트", 동사일 때는 "프리젠트"라고 기억하면 좋아요!
2. Record 📀 (명사: /ˈrek.ɔːrd/ vs. 동사: /rɪˈkɔːrd/)
✔ Record /ˈrek.ɔːrd/ (명사) → 기록, 음반
✔ Record /rɪˈkɔːrd/ (동사) → 녹음하다, 기록하다
📌 차이점: 명사일 때는 앞부분에 강세가 있고, 동사일 때는 뒤에 강세가 있어요.
✔ 예문:
- He broke the world record in swimming. (그는 수영에서 세계 기록을 깼어.)
- I love collecting vinyl records. (나는 바이닐 음반을 모으는 걸 좋아해.)
- Can you record this lecture for me? (이 강의를 녹음해 줄 수 있어?)
- The camera is recording everything. (카메라가 모든 걸 녹화 중이야.)
💡 Tip: 명사로 쓰면 "레코드", 동사로 쓰면 "리코드"처럼 발음돼요!
3. Object 🎯 (명사: /ˈɑːb.dʒɪkt/ vs. 동사: /əbˈdʒekt/)
✔ Object /ˈɑːb.dʒɪkt/ (명사) → 물건, 대상
✔ Object /əbˈdʒekt/ (동사) → 반대하다
📌 차이점: 명사일 때는 "오브젝트", 동사일 때는 "업젝트"처럼 들려요.
✔ 예문:
- There is a strange object in the sky. (하늘에 이상한 물체가 있어.)
- The main object of the study is to find a cure. (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치료법을 찾는 거야.)
- I object to your decision. (나는 네 결정에 반대해.)
- Many people objected to the new policy. (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정책에 반대했어.)
💡 Tip: 동사로 사용될 때는 /ə/로 시작하는 약한 소리로 발음돼요!
4. Content 📚 (명사: /ˈkɑːn.tent/ vs. 형용사: /kənˈtent/)
✔ Content /ˈkɑːn.tent/ (명사) → 내용물, 콘텐츠
✔ Content /kənˈtent/ (형용사) → 만족하는
📌 차이점: 명사일 때는 "콘텐츠", 형용사일 때는 "컨텐트"처럼 들려요.
✔ 예문:
- The content of this book is very interesting. (이 책의 내용이 정말 흥미로워.)
- He creates online content for a living. (그는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일을 해.)
- She was content with her life. (그녀는 자신의 삶에 만족했어.)
- I don’t need anything more. I’m content. (나는 더 이상 필요 없어. 지금 만족해.)
💡 Tip: "Content creator"(콘텐츠 크리에이터)라고 할 때는 명사 발음 /ˈkɑːn.tent/을 써요!
5. Permit 📜 (명사: /ˈpɝː.mɪt/ vs. 동사: /pɚˈmɪt/)
✔ Permit /ˈpɝː.mɪt/ (명사) → 허가증
✔ Permit /pɚˈmɪt/ (동사) → 허락하다
📌 차이점: 명사일 때는 강세가 앞에 있고, 동사일 때는 뒤에 강세가 있어요.
✔ 예문:
- You need a permit to park here. (여기 주차하려면 허가증이 필요해.)
- Do you have a work permit? (근무 허가증 있나요?)
- The teacher permitted us to leave early. (선생님이 우리에게 일찍 가도 된다고 허락하셨어.)
- Smoking is not permitted in this area. (이 구역에서는 흡연이 허용되지 않습니다.)
💡 Tip: "Parking permit"(주차 허가증), "Work permit"(취업 허가증) 등으로 자주 쓰여요!
마무리 🎯
📌 오늘 배운 뜻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단어들
✅ Present /ˈprez.ənt/ vs. /prɪˈzent/ – 선물, 현재 vs. 발표하다
✅ Record /ˈrek.ɔːrd/ vs. /rɪˈkɔːrd/ – 기록, 음반 vs. 기록하다
✅ Object /ˈɑːb.dʒɪkt/ vs. /əbˈdʒekt/ – 물체 vs. 반대하다
✅ Content /ˈkɑːn.tent/ vs. /kənˈtent/ – 내용 vs. 만족하는
✅ Permit /ˈpɝː.mɪt/ vs. /pɚˈmɪt/ – 허가증 vs. 허락하다
이 단어들은 회화뿐만 아니라 뉴스, 이메일, 문서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이니 꼭 기억해 두세요! 😊 혹시 더 알고 싶은 표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!
'영단어&숙어 표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살짝 상스러운 영어 표현들: Brown-nose, Suck up, Kiss ass (2) | 2025.03.23 |
---|---|
콩글리시 vs. 실제 영어 표현 🇰🇷➡️🇬🇧 (2) | 2025.03.22 |
영어 단어 하나 차이로 발음이 완전히 달라지는 단어들 (2) | 2025.03.20 |
실생활에서 유용한 영어 표현 5가지 (Part 4) 🏡 (3) | 2025.03.19 |
실생활에서 유용한 영어 표현 5가지 (Part 3) 🏡 (3) | 2025.03.18 |